조향부 관련 전문공구
1. 포크 스티어러 크라운레이스 페이싱공구
헤드셋 하단과 만나는 포크의 크라운레이스가 장착되는 표면을 깎아내는 공구다. 헤드셋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레이스가 장착되는 표면이 울퉁불퉁하면 레이스가 들뜰 수 있어 조향감이 떨어지고 심하면 유격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레이스이 장착전에 페이싱한다.
2. 크라운 레이스 장착기
레이스를 스티어튜브를 하단에 장착하는 공구다. 레이스는 스티어러튜브 하단 약간 굵은 부분에 꽉 끼우게 되어 있는데 일반적인 정이나 드라이버를 사용하면 레이스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레이스 전체를 감쌀 수 있는 파이프를 꼭 맞게 끼우고 망치로 가볍게 두드려 박거나 공구 자체로 쳐서 박는다.
3. 크라운 레이스 탈착기
꽉 끼워진 레이스를 일자 드라이버를 사용해 들어 올리다가 레이스가 부러지거나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크라운 레이스 헤드셋에 포함되는 것이므로 헤드셋을 교환하지 않고 포크를 바꾸려고 하면 이 탈착기를 사용해 안전하게 분리해야 한다.
4. 스타너트 장착기
포크 스티어러튜브 안에 박아 넣어 헤드 캡과 체결하는 스터너트를 수평상태로 박아 넣는 공구다. 스타너트에 끼우고 망치로 가볍게 끝까지 박아 넣으면 적당한 깊이와 수평 상태로 장착된다.
5. 헤드셋 장착기
헤드세 베어링컵을 헤드튜브에 끼우는 공구로 위아래 베어링 컵을 공구 위아래에서 똑같은 힘으로 압축하여 끼우는 프레스장치다.
6. 헤드세 탈착공구
헤드튜브에 꼭 맞게 끼워진 헤드셋 베어링 컵을 빼내는 도구로 헤드튜브에 끼워서 망치로 내려치면 베어링 컵이 빠진다. 위아래 같은 방법을 실시한다.
7.포크 스티어러튜브 절단공구
포크를 따로 구입하면 스티어러튜브가 상당히 길다. 일부 사용자는 스페이서를 끼워 사용하는 경우도 있시만 지나치게 길면 자세가 불편하고 위험해지므로 프레임에 맞게 절단해야한다.
스티어러튜브에 고정해 쇠톱으로 똑바르게 자를 수 있게 도와주는 절단가이드와 쇠톱이 없더라도 간단하게 튜브를 절단할 수 있는 파이프 커터가 있다.
스티어러튜브를 자르면 절단부위가 미세하게 부풀어 올라 헤드셋에 끼워지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절단 후 튜브 안팎을 줄로 다듬어야 한다. 절단부위의 안팎을 고르게 정리하는 리머다.
구동부 관련 전문공구
1. 크랭크 추출기
모든 크랭크 세트가 추출기를 필요로 하지는 않으나 시마노 사각BB 이후에 나온 옥타링크 방식의 크랭크는 추출기를 사용하여 분리한다. 최근의 크랭크 세트는 육각렌치를 이용해 쉽게 탈부착을 할 수 있거나 전용 크랭크 공구가 들어 있는 경우도 있다.
2. 체인공구
체인공구는 상당히 일반화 되어 있는 공구이기는 하지만 미캐닉들이 사용하는 체인 공구는 마무리와 정밀도가 훨씬 뛰어나다. 가격도 그에 걸맞게 수십만원을 호가하는 경우가 많다.
3. 카세트 스프라켓 탈부착기
시마노 호환 스프라켓 고정링(lock ring)을 풀고 조이는 공구이며 24mm소켓렌치에 물려사용한다. 하단 왼쪽의 소켓은 캄파뇰로 고정링을 풀고 조이는 공구이며, 상단의 공구처럼 24mm 소켓렌치에 물려 사용한다. 하단 오른쪽의 공구는 카세트 스프라켓을 풀 때 프리 휠이 작동하지 않도록 스프라켓을 잡아주는 공구로 장착시엥는 프리 휠의 반대로 조이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이 공구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휠 세트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만약 스포크가 부러져서 허브에만 스크라켓이 남아 있는 것을 분해하려면 하단의 스프라켓 고정기를 바이슨에 물릴 수 있는 것을 사용해야 한다.
4. BB컵 렌치
시마노 크랭크세트에 포함된 bb컵을 푸고 조이는 공구이며 아래의 것은 캄파놀료에서 판매하는 BB컵렌치다. 둘 다 시마노나 캄파놀로 타입에 모두 호환이 된다. 하단 사진은 BB타입별 BB탈부착용 공구이다. 왼쪽부터 순서대로 캄파놀로 카트리지 베어링 방식 BB용, 캄파놀로 울트라 토크나 FSA, 시마논 아웃보드 형식용,ISIS 또는 옥타방식용, 시마노 아웃보드타입용, 캄파놀로 구형 BB용 공구다. 캄파놀로에서 나오는 공구는 24mm소켓렌치에 물려 사용하고 나머지는 토크렌치나 래칫핸들에 물려 사용할 수 있다.
5. 허브 콘렌치
자전거 공구세트 중 중형이상을 구입하면 이런 콘렌치가 들어있다. 많으면 12~23mm까지 1mm단위로 구성되는데 14~17mm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허브너트는 콘의 조임을 담당하는 너트와 플림방지 너트로 구성되므로 2개를 한조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고급 허브는 이런 콘 렌치 없이 육각렌치와 전용공구로만 분해조립이 가능한 것들도 많아 점차 사용이 줄어드는 형편이다.
6. 허브 액슬 바이스소켓
허브 분해정비 시 허브 축을 바이스에 물려야 할 경우가 있다. 이때 그냥 허브 축을 바이스에 물리면 허브 축에 손상을 입힐 수 있으므로 축을 감싸서 거정할 수 있는 바이스소켓을 끼워 물려야 허브축의 망손을 방지할 수 있다.
7. 스프라켓 마모도 검사용 도구
사진의 도구는 롤호프에서 판매하는 시마노용 스파라켓 마도도 검사 도구다. 스프라켓에 체인을 가망 손잡이를 움직여 보아 체인 끝이 유격으로 움직이면 스프라켓을 교체해야한다.
8. 드레일러 행어 교정기
뒤 드레일러가 고정되는 행어는 변속 트러블이나 사고, 보관이나 이동 시 부주의로 휠 수 있다. 행어가 휘면 변속긴의 정렬과 세팅을 아무리 해도 변속 트러블이 그치지 않는데 이때는 공구로 행어를 교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