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장마가 시작되는 날입니다. 장마로 인한 피해가 없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자전거 전문공구
자전거 공구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육각렌치나 체인커터, 페달렌치 등이 떠오른다. 그리고 자전거 동호인이라면 이런 공구쯤는 갖추고 라이딩 전후 정비점검은 스스로 척척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럼 전문 미캐닉은 어떤공구와 어떤 기술을 쓰기에 동호인과 다른걸까? 그들이 쓰는 공구만 슬쩍 훔쳐보아도 어느정도 짐작 할 수 있다.
일례로 전문 미캐닉이 쓰는 공구 중 가장 일반화 된 것이 바로 토크렌치다. 동호인들이 자전거 정비를 위해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육각렌치라면 토크렌치는 자전거 전문공구는 아니지만 미캐닉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공구라고 할 수 있다.
자전거는 라이더의 체중을 싣고 달리는 운송수단이다. 특히 MTB는 산악의 험로를 달려야하는 자전거이므로 각 부품의 정확한 체결이 정비의 기본이기도 하다. 만약 이런 체결부위가 너무 느슨하게 조이면 라이딩 중 체결이 풀려서 위험한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반대로 너무 강하게 조이면 볼트가 부러지거나 체결부위에 손상을 주므로 위험하기는 마찬가지.
이런 볼트나 너트의 체결시 적당한 강도로 조이기위해 사용하는 공구가 토크렌치다. 아울러 이 토크렌치를 쓰기 위해서는 각 부품의 설명서에는 이런 토크 값이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수많은 부품의 토크를 일반인들이 모두 알수도 없을뿐더러 알 필요도 없다. 이는 어디까지나 전문 미캐닉의 소관인 것이다.
전문공구? 전용공구?
정비사나 미캐닉들의 설명을 들으면 전문공구와 전용공구라는 말이 자주 나온다. 비슷한 것 같지만 사실 두 가지에는 큰 차이가 있다. 전문공구는 육각렌치처럼 일반화되어 있는 공구지만 전문가가 직업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더 정밀하고 편리하게 만든 공구를 말한다. 이를테면 앞서 언급한 토크렌치가 없어도 미캐닉들은 육각렌치를 사용해 오버토크가 일어나지 않게 볼트를 체결할수 있다. 그러나 감보다 더 정확성을 요하기 위해 이런 전문공구를 사용하는 것이다.
전문공구는 직업적으로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튼튼한 내구성을 지닌 것은 물론 작업물에 손상을 입히면 안 되므로 일반공구보다 정밀하다. 따라서 그 종류도 세분화되어있고 가격도 싼 거서은 몇 만원에서 비싼것은 수백만원이 넘는 것도 있다.
예를 들면 1인치 스레드헤드셋을 사용하는 포크 스티어러튜브의 탭을 내는 공구가 있다. 이 공구는 1인치 스레드 헤드셋타입의 자전거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전문공구로, 캄파뇰로의 1인치 스레드 탭퍼의 가격은 200만원이 훨씬 넘는다.
한편, 전용공구는 특정부품 하나에만 사용하는 공구를 말하는데 대부분 자전거 부품회사에서 만들고 제품출시와 함께 판매하거나 제품에 포함된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크리스 킹 허브의 베어링 장착공구를 들 수 있다. 이 공구는허브와 별도로 판매되는 공구로 크리스 킹 허브에만 사용할 수 있다.
이런 전문공구난 정용공구를 모두 갖추려면 경제력이나 공간적 여유가 필요하므로 직업적인 미캐닉이 아닌 일반인이 갖추기엥는 상당히 무리가 있다. 그리고 자전거 관련 영업을 하지 않는다면 그 사용 빈도도 높지 않으니 구태여 갖추려고 노력하지 않아도 된다.
그래도 만약 미캐닉들이 사용하는 공구를 갖고 싶다면 전용공구보다 전문공구를 갖추되 잦신의 자전거에 맞는 사용빈도가 높은 공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전거의 전문공구는 크게 프레임, 조향부, 구동부, 휠, 브레이크 관련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크기와 무게가 상당히 큰 것도 많다. 그럼 지금부터 미캐닉들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전문공구들을 살펴보자.
프레임 전문 관련 전문공구
1. 프레임 얼라인먼트 게이지
프레임의 비틀림이나 휘어진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로 게이지의 상단 막대를 헤드튜브와 시트튜브에 밀착, 드롭아웃의 다이얼을 돌려 끝부분까지 드롭아웃에 닿게 한 후 프레임의 반대편을 같은 식으로 대어 보면 드롭아웃의 교정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2. 프레임 교정기
프레임 얼라인먼트 게이지로 교정할 방향과 교정량을 측정한 후 체인스테이 또는 시트스테이를 잡아당기기 위한 도구다. 알루미늄이나 티타늄 프레임이 변형이 되면 교정이 사아당히 어려우므로 크롬몰리 프레임에 주로 사용한다.
3. 드롭아웃교정기
뒷바퀴가 체결되는 프레임 드롭아웃의 수평,수직이상을 측정하고 교정하는 도구다.
4. 헤드튜브 페이싱공구
헤드셋이 장착되는 헤드튜브의 표면을 상,하단 모두 수평으로 미세하게 깎아내는 도구다. 헤드튜브의 상.하단이 불규칙하면 헤드셋이난 베어링의 수펼이 어그러져 조향감이 떨어지고 심한 경우 노면 충격에 따른 크랙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페이싱 작업을 한다.
5. BB셀 페이싱 공구
BB셀의 양단이 불규칙하면 크랭크 축이 미세하게 비트려 페달링의 효율이 떨어진다. 뿐만 아니라 BB베어링에 편향된 힘이 미쳐서 베어링 수명도 떨어지게 되므로 페이싱이 필요하다. BB셀은 IS타입과 이탈리안 타입(산악자전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이 있는데 두 가지 모두 중간에 스페어서 사이즈만 다를 뿐 한 가지 공구로 모우 페이싱이 가능하다. 그러나 정비량이 많은 미캐닉들은 사진처럼 IS와 이탈리안 타입별로 각각의 공구에 스페이서를 맞춰놓고 전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6. BB 탭퍼
BB 체이싱 공구라고도 부르며 BB셀 안에 BB가 설치 될 수 있도록 나사산을 내거나 손상된 나사산을 복구하는 공구다.
BB 탭퍼는 BSC타입과 이탈리안 타입이 있는데 BSC의 경우 논 드라이브사이드는 오른나사, 드라이브사이드는 왼나사를 사용하고 이탈리안 타이은 양쪽 모두 오른 나사를 사용한다.
따라서 핸들에 장착하는 탭퍼만 바꾸면 두 가지 타입 모두 작업할 수 있으나 사진의 경우엔 두 종류로 나누어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